🐀 벌거숭이두더지쥐 (Naked Mole-Rat)
2025. 10. 24. 00:13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세상에서 뱀보다 더 싫어하는 쥐 ㅜㅜ요즘 항노화와 건강상으로 유명해진 벌거숭이두더지쥐에 대해...
1. 기본 정보 & 서식지
- 학명: Heterocephalus glaber
- 서식지: 동아프리카(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의 건조 사바나 지하
- 생활방식: 지하에 복잡한 터널을 만들고 거대한 군집으로 살아가는 진사회성 포유류(eusocial mammal) — 즉, 개미나 벌처럼 “여왕-노동자-병정” 계급이 존재합니다!
- 수명: 최대 30년 이상으로, 비슷한 체구의 쥐보다 10배 이상 오래 삽니다.
2. 생리적·유전적 특징
노화 저항 (Aging Resistance)
- 노화 징후 없음: 일반 쥐는 2~3년이면 노화가 시작되지만, 벌거숭이두더지쥐는 20년 이상 세포 손상·대사 저하 없이 활동합니다.
- 텔로미어 안정성과 효율적인 단백질 품질 관리(Proteostasis)가 원인 중 하나로 연구됩니다.
- 세포 자가포식(autophagy)이 활발하여 손상된 세포를 신속히 청소합니다.
통증 둔감 (Pain Insensitivity)
- 피부 신경에서 ‘Substance P’ 결핍 → 특정 화학적 자극(산성, 고추의 캡사이신 등)에 통증 반응이 거의 없음.
- 이는 혹독한 지하 환경(이산화탄소 농도 높음, 산성 공기)에 적응한 결과입니다.
암 저항 (Cancer Resistance)
- 수천 마리의 연구 개체 중 자연 발생 암이 거의 보고되지 않음.
- 이유:
- 고분자형 히알루론산 (HMW-HA) — 세포 밀도를 조절해 암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을 차단.
- **조직세포간 억제(contact inhibition)**이 훨씬 강력.
- p16/p27 유전자 경로가 매우 발달되어 세포 분열을 철저히 제어.
산소 결핍 내성 (Hypoxia Tolerance)
- 완전 무산소 상태에서도 최대 18분 생존 가능!
- 원인: 포도당 대신 과당(fructose) 대사를 이용해 ATP를 생성.
- 인간 포함 대부분 포유류에서는 매우 드문 대사 방식입니다.
3. 사회 구조 (여왕 중심 사회)
- 여왕 1마리만 번식하고, 나머지 개체는 일꾼 또는 병정 역할.
- 여왕은 다른 암컷의 생식 억제(호르몬 조절)를 통해 번식 독점.
- 사회적 역할 분화가 포유류 중 유일하게 곤충형 집단생활에 가까움.

4. 인간 연구 응용
- 노화 연구: 장수의 유전적 원인 규명 → 인간 노화 억제 약물 개발 모델
- 암 연구: HMW-HA 물질을 모방한 항암 메커니즘 연구 활발
- 통증 연구: 신경물질 조절 기반 비마취 진통제 개발 가능성
- 산소 결핍 연구: 뇌졸중, 심근경색 후 저산소 대사 회복 모델로 활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