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른들의 음악 -재즈(Jazz)
2025. 8. 2. 00:39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재즈(Jazz)란 무엇인가
재즈는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 뉴올리언스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에서 시작된 음악 장르로, 블루스, 래그타임, 유럽과 아프리카 음악의 융합에서 탄생했습니다. 초기에는 노예와 이민자, 다양한 인종이 각기 다른 문화, 리듬, 선율을 교류하며 만들어낸 독특한 소리였고, 이후 20세기 초 뉴올리언스의 다인종 거리 문화, 장례식 마칭밴드, 댄스홀, 바에서 퍼지며 미국 전역, 그리고 세계로 퍼졌습니다.
음악에 나이가 있겠냐만....저는 어려서부터 재즈는 어른의 음악 같다는 생각을 한 이후 지금까지도 들을 수록 그런 생각이 드네요~^^
재즈의 특징
- 즉흥연주(Improvisation) : 연주자 개인의 창의력, 개성, 순간적 상상력이 두드러지는 음악입니다.
- 스윙 리듬(Swing)과 신시페이션 : 박자의 경계를 앞서거나 늦추며 주는 독특한 리듬감, 고유의 “흔들림”이 있습니다.
- 블루스 음계·화성 : 블루스에서 유래한 ‘푸른 음’(blue notes), 블루스 화성 진행이 토대를 이룹니다.
- 콜 앤 리스폰스(Call and Response) : 연주자들 간, 또는 보컬과 연주자 간 질의·응답 구조가 흔히 나타납니다.
- 집단적 대화(Interplay) : 즉흥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연주하는 것이 중요한 미학입니다.
- 아프리카 전통·유럽 음악 요소의 융합 : 리듬은 아프리카, 악기와 화성은 유럽에서 유래한 것이 많습니다.
재즈의 변화와 확장
- 1920년대, ‘재즈 시대(Jazz Age)’로 불릴 만큼 미국 주류 문화로 자리잡았고, 이후 스윙, 비밥, 쿨, 하드밥, 모달, 프리, 퓨전 재즈 등 수많은 하위 장르로 발전했습니다.
- 대표 아티스트 : 루이 암스트롱, 듀크 엘링턴, 찰리 파커, 존 콜트레인, 마일스 데이비스 등.
대표 재즈 영화
재즈는 영화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조명되어 왔습니다. 다음은 재즈가 주제이거나, 재즈 사운드트랙이 매우 인상적인 대표 영화입니다.
영화 제목 감독/연도 주요 특징 및 설명
라라랜드 (La La Land) | 데이미언 셔젤, 2016 | 현대 재즈 피아니스트(라이언 고슬링)가 꿈을 좇는 과정을 감성적으로 그린 음악영화, 재즈의 아름다움과 현실의 애환 |
위플래쉬 (Whiplash) | 데이미언 셔젤, 2014 | 고등학교 빅밴드 드러머와 혹독한 스승의 이야기, 재즈 오케스트라와 연습·경쟁·즉흥성의 미학 |
라운드 미드나잇 (Round Midnight) | 베르나르도 타베르니에, 1986 | 뉴욕의 전설적(가상) 재즈 색소포니스트 아르투로와 프랑스 팬의 우정, 재즈의 순수예술성과 고독, 그리고 삶 |
버드 (Bird) | 클린트 이스트우드, 1988 | 비밥의 아이콘 찰리 파커의 삶을 그린 전기영화. 불꽃 같은 연주와 삶의 명암. |
블루스의 여왕 (Lady Sings the Blues) | 시드니 J. 퓨리, 1972 | 빌리 홀리데이의 생애와 음악, 흑인 여성 재즈 싱어의 고통과 저항 |
엘리베이터 투 더 갤로우스 (Elevator to the Gallows) | 루이 말, 1958 | 마일스 데이비스의 명연이 전편을 이끄는 프랑스 느와르 영화, 재즈 즉흥연주의 영화적 결합 |
코튼클럽 (The Cotton Club) |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1984 | 1930년대 할렘의 재즈클럽과 사회상을 스타일리시하게 그린 음악영화 |
뉴욕, 뉴욕 (New York, New York) | 마틴 스코세이지, 1977 | 색소포니스트와 가수의 재즈와 사랑 이야기, 재즈 명곡 '뉴욕, 뉴욕' |
이외에도 <버드>, <마일스 어헤드>, <마일스: 쿨의 탄생>, <블루노트 레코드>, <체이싱 트레인> 등 다양한 다큐, 전기영화가 있습니다.
참고
- 국제 재즈의 날 : 매년 4월 30일(UNESCO 지정)
- 대표 작품 : 라라랜드, 위플래쉬, 라이브 연주영화(라운드 미드나잇 등), 다큐 등
- 재즈의 본질 : 즉흥성, 자유, 대화, 역사적 다양성
- 대표 아티스트 : 루이 암스트롱, 찰리 파커, 빌리 홀리데이, 존 콜트레인, 마일스 데이비스, 빌 에반스, 듀크 엘링턴 등
카리나 네뷸라(Carina Nebula) : 대한민국 여성 재즈 보컬 그룹
카리나 네뷸라(Carina Nebula)는 국내 재즈계에서 주목받는 여성 보컬리스트 네 명이 결성한 대한민국 최초의 4인조 재즈 보컬 앙상블입니다.
이 팀명은 별들이 활발히 탄생하는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에서 따온 것으로(리더가 물리학 출신이라서 이런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신비롭고 밝은 별과 같은 음악, 새로운 발견과 아름다움을 지향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음악적 특징 및 활동
- 장르적 폭: 스탠더드 재즈, 팝, 민요, 가요 등 다양한 장르를 재즈로 재해석하며, 화려한 스캣과 풍부한 하모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대표 앨범 『Good Match』(2023): 창작곡, 재즈 스탠더드, 유명 팝, 한국 민요·가요 등 12곡 수록. 무대 및 방송에서 폭넓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 라이브 공연: MBC TV예술무대, TBS 뉴스공장 등 주요 방송, 아트홀 등지에서 단독 콘서트 개최.
- 특이성: 재즈 보컬 그룹으로 4인이 함께 하모니를 이루는 사례는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며, 다양한 곡에서 각 멤버의 개성과 즉흥성을 집단적으로 드러냅니다.
- 9월에 어른의 음악을 하는 공연에 나들이 다녀올까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