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 어쩔 수가 없다
2025. 10. 10. 00:09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말많은 영화!! - 감독! 이게 최선이였을까? 그렇다면 어절 수가 없다....
기본 정보
- 제목: 어쩔 수 없다 (No Other Choice / 원제: 어쩔수가없다)
- 감독: 박찬욱
- 원작: 도널드 웨스트레이크(“Ax / 액스”)
- 개봉일: 2025년 9월 24일
- 상영 등급 / 러닝타임: 15세 이상 관람가, 약 138분
- 장르: 코미디 + 스릴러 / 블랙 코미디 요소 강함
전개 흐름
- 안정된 일상 → 해고
만수는 가족과 안정적인 삶을 이어가던 중, 예고 없이 구조조정 대상이 된다.
이후 그는 자동차를 팔고, 아내 미리(손예진)는 레슨 일도 그만둬야 하고, 아이들의 삶도 흔들리기 시작함. - 절박함 속에서의 선택
재취업을 위해 면접을 보지만 매번 실패. 만수는 점점 무력감에 빠지고, 경쟁자를 제거해야 한다는 극단적 생각으로 치닫는다.
실제로 그는 가짜 구인광고를 내어 경쟁자들을 유인하고, 하나씩 제거하기 시작함. - 살인과 재취업, 그러나 파괴된 인간성
만수는 경쟁자를 죽여가며 점점 더 잔인한 선택을 하며, 마치 시스템 속에서 괴물이 되어간다.
겉으론 재취업에 성공하고 가족의 안정을 되찾는 듯 보이지만, 그의 인간성, 가족 간 신뢰, 윤리의 실루엣은 무너진다. - 결말 암시 / 해석 여지
영화는 명확한 해피 엔딩이나 완전한 복수를 보여주기보다는 생존과 괴물이 된 자아 사이의 간극, 그리고 ‘어쩔 수 없다’는 말이 지닌 무게를 관객에게 남긴 채 마무리되는 듯.
즉, 만수가 경쟁자를 제거해 가는 그 과정이 “선택인가, 필연인가”라는 질문을 남기고, 관객이 주체적으로 해석하게끔 연출돼 있다는 평이 많음.
총평 & 평론, 해석적 시각
강점 & 인상적 부분
- 이병헌의 연기력
절박함, 분노, 체념, 윤리적 갈등 등 복합적인 감정 표현에서 기대 이상의 몰입을 준다는 평이 많음. - 사회적 메시지 & 시대 공감
해고, 고용 불안, 생계 위기 같은 현실 문제를 필살 생존전으로 끌어와, 개인과 시스템의 갈등을 날카롭게 드러냄. ‘어쩔 수 없다’는 말이 변명이자 자기 합리화가 되는 사회 비판적 시선이 강함. - 연출 감각 / 미장센 / 블랙 유머
박찬욱 감독의 색감, 연출 디테일, 아이러니한 유머와 긴장감의 결합이 흥미롭다는 평. - 평단 호평 / 국제적 반응
로튼토마토 등에서 긍정적 평가 많고,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등으로 국제 무대에서도 주목.
약점 또는 비판 지점
- 이해 난이도 & 직관성 부족
메타포, 반복 장면, 암시적 표현 등이 많아 한 번 보기에 바로 감이 잡히지 않는다는 의견. - 잔인함 또는 불편함
극단적 선택과 폭력 장면이 강렬해서 관객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지적 있음. - 스토리 밸런스 / 몰입 지속성
초반부 흐름이 다소 더딘 느낌이 있다는 평도 있고, 메시지와 서사가 충돌하거나 과하게 느껴지는 순간도 있다는 의견.
해석 관점 & 의미
- ‘어쩔 수 없다’의 아이러니
이 말은 본래 필연적인 상황을 설명하려는 표현이지만, 영화에서는 생존을 위한 변명으로서의 무게를 지닌다. 즉 “나는 어쩔 수 없었어”라는 말이 개인의 선택과 책임을 흐리게 만든다는 메시지. - 자본주의 구조 vs 개인의 파괴성
시스템 속에서 내몰린 인간이 결국 괴물이 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제도적 불공정과 구조적 모순을 질문하게 함. - 가족, 윤리, 인간성의 붕괴
가정을 지키려는 욕구가 결국 가족 관계의 균열을 낳고, 윤리적 기준이 무너져가는 모습을 통해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탐색함. - 블랙 유머 + 긴장 병치
영화는 웃음과 긴장을 오가면서 관객에게 감정의 동요를 유도하고, 메시지를 무겁게만 전달하지 않으려는 시도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