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Ulysses)』
2025. 11. 10. 00:12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1) 요약
- 저자: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 작품: Ulysses (1922) — 1904년 6월 16일 단 하루를 배경으로, 더블린에 사는 레오폴드 블룸(Leopold Bloom), 스티븐 데달러스(Stephen Dedalus), 몰리 블룸(Molly Bloom)의 하루를 통해 서구 문명·개인 의식·언어 실험을 시도한 근대 소설의 정수.
2) 출간과 출판사·초판 정보
- 조이스는 1914–1921년 집필했고, 연재(예: The Little Review)·부분 출판 과정을 거쳤다. 전체 책은 파리의 서점 출판사 Shakespeare and Company(실비아 비치 운영)에서 1922년 2월 2일(조이스 40세 생일)에 초판을 냈다. 초판은 청록색 표지로 유명하며 한정 번호본(서명본 포함)이 있었다.

3) 구성(18장(episode)과 호메로스의 『오디세이』 대응)
- 총 18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며, 각 에피소드는 고전 『오디세이』의 에피소드와 대응되는 구조(텔레마코스·오디세이아·노스토스 등)를 취한다. 각 장은 서로 다른 문체·서술 기법을 쓰며(신문 기사체, 전기적 서술, 내적 독백·stream of consciousness, 모노로그 등) 전체는 하루의 사건을 통해 현대인의 삶과 내적 풍경을 그린다.
4) 주요 인물·관계
- 레오폴드 블룸(Leopold Bloom): 유태인 혈통의 광고원(광고 영업직)으로 이 작품의 ‘오디세우스’적 인물. 세심하고 일상적 관찰자.
- 스티븐 데달러스(Stephen Dedalus): 조이스의 전작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의 주인공으로, 지적·예술적 탐색을 하는 젊은 지성(텔레마코스 역할).
- 몰리 블룸(Molly Bloom): 블룸의 아내이자 마지막 장(“펜로프”/Penelope)에서 의식의 흐름으로 길게 이어지는 독백을 통해 성·관계·기억을 드러낸다.
5) 서술기법과 문체적 혁신
- 스트림 오브 컨셔스니스(stream of consciousness): 인물의 의식흐름을 거의 차단 없이 직접 보여주는 기법을 핵심적으로 사용.
- 풍부한 언어 실험: 어휘 발명, 파격적 문장/구두점 사용, 다양한 레토릭·양식(희극·신학적·법률적·신문기사 등)을 차례로 구사.
- 이 때문에 읽기가 어렵지만 그만큼 ‘의식·언어의 총체적 탐구’라는 문학적 성과를 인정받는다.
6) 주제적 핵심
- 일상(Everyday)의 서사화: ‘거대한 영웅담’을 일상의 소소한 사건으로 재편성.
- 정체성과 소속감(민족·종교·성별·가족) 문제 — 블룸의 유대인 배경, 아일랜드 민족주의 풍경 등.
- 언어·의식 탐구: 인간의 내면·기억·관계가 언어로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대한 실험.
7) 검열·논쟁·법적 역사
- 연재 중인 일부 에피소드(예: “Nausicaa”)가 음란성 이유로 미국에서 문제되어 The Little Review 편집진이 기소되었고, 책은 영미권에서 오랫동안 불온(또는 음란)물로 분류되었다. 미국에서는 1933년 연방판사의 판결(John M. Woolsey)이 ‘비음란’으로 판단되어 뒤늦게 합법화되었고, 영국에서는 1936년 이후 합법 출판이 허용되었다. 이 검열사는 작품의 문학사적·사회사적 의미를 키웠다.
8) 영향·문학사적 위치
- 20세기 모더니즘 소설의 정점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이후 작가들과 이론가들에게 서술기법·의식 묘사·언어 실험의 표준적 사례가 됨. 매년 6월 16일은 ‘블룸스데이(Bloomsday)’로 기념되며 더블린·전 세계에서 독서·퍼레이드·기행이 열린다.
9) 읽기 팁
- 완벽히 이해하려 하지 말라: 의미의 전부를 즉시 파악하려 들기보다 ‘언어 실험’을 즐기세요.
- 에피소드별 가이드를 사용: 각 장의 요지와 형식을 정리한 주석서(예: Norton Critical Edition)나 스파크노트·클리프노트 등 요약을 병행하면 도움이 됩니다.
- 천천히, 소리 내어 읽기: 특히 몰리의 장 같은 의식의 흐름은 소리 내 읽으면 리듬과 감정을 더 잘 느낍니다.
- 지리·역사 배경을 알아두기: 더블린의 지명·사회·신문기사 양식 등 배경 지식이 문맥 이해에 도움 됩니다.
올 겨울 다시한번 읽으면 이번생엔 끝이 될듯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