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근의 '공간'사옥(종로구 원서동)

2025. 8. 17. 00:42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공간 사옥 외부

 

 

공간 사옥 내부

 

공간사옥(종로구 원서동) 

공간사옥은 1971년 건축가 김수근에 의해 설계된 대한민국 현대건축의 대표작입니다. ‘공간(空間) 사옥’은 원래 김수근이 이끌던 건축설계그룹 ‘공간 그룹’의 사옥이자 작품집이며, 현재는 국가등록문화재와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건축적 특징 및 공간구성

  • 입지와 외관
    창덕궁 옆 종로구 원서동에 위치, 전통 한옥 주거지와 도시의 골목길 맥락을 적극적으로 반영했습니다.
    외벽은 짙은 전돌(벽돌) 마감과 담쟁이덩굴을 사용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과 질감이 변화하며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어우러집니다.
  • 내부 공간과 구조
    김수근은 한국의 전통적인 마당, 골목 개념을 현대적으로 변용했으며, ‘스킵플로어’(반 층씩 어긋난 구조)의 입체 공간에서 좁고 넓음, 높고 낮음, 막힘과 열림 등 다양한 감각을 경험하게 합니다.
    계단은 평이한 연결 통로가 아니라, 시선 흐름과 이동 동선을 다채롭게 만드는 핵심 매개체입니다. 원형 계단, 삼각 계단, U자형 계단 등 다양한 형태의 계단이 각각 분절된 공간을 자연스럽게 연결합니다.
  • 공간의 흐름(동선의 미로성)
    ‘길’이자 ‘계단’인 요소를 강조, 건물 내부를 이동할 때마다 비슷하면서도 계속 다른 풍경과 공간감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는 한옥 마당에서 골목을 사이로 여러 영역을 오가던 전통공간 체험의 현대적 재해석입니다.
  • 인간 친화적(휴먼스케일)
    김수근은 한국인의 체형, 생활방식에 맞춰 2.3m로 낮은 층고, 다양한 레벨의 공간, 벽돌과 노출콘크리트 재료의 질감을 그대로 살린 내부를 설계했습니다.
  • 다기능 창작공간
    최초 설계(1971)는 사무·작업·예술가 집단의 창작과 교류 공간 및 갤러리, 소극장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했습니다. 이후 1977년 증축에서는 지하극장 등 문화예술 공간 역할이 강조됐습니다.

 

 

 

현대적 가치와 유산

  • 2014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 한국현대건축의 상징적 유산이 되었고,
    현재는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로 예술문화 공간이자 서울 건축 투어의 명소입니다.

참고 및 요약

  • 설립자/설계자: 김수근
  • 건축연도: 1971년(1차), 1977년(2차 증축)
  • 주요 재료: 전돌(벽돌), 노출콘크리트
  • 현재 용도: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
  • 의의: 한국 전통공간의 현대적 재해석 및 한국 건축사의 기념비적 공간
반응형